info-o 의 정보 블로그
메인화면
  • 분류 전체보기 (85)
    • 건강 (31)
    • 생활 (31)
    • 정부지원 (23)
메인화면
  • 분류 전체보기 (85)
    • 건강 (31)
    • 생활 (31)
    • 정부지원 (23)
블로그 내 검색

info-o 의 정보 블로그

건강, 생활, 정부지원에 관련된 정보 블로그입니다.

  • 정부지원

    보금자리론 vs 디딤돌대출, 어떤 게 유리할까? (2025 실수요자 가이드)

    2025. 6. 30.

    by. info-o

     

     

    [목차]

     

    내 집 마련을 고민 중인 무주택자라면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 중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할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2025년 현재, 두 상품은 모두 정부가 실수요자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정책 대출이지만 조건과 대상이 조금씩 다릅니다. 이 글에서 쉽게 비교해드릴게요.

     

    두 대출 상품, 공통점부터 정리해보자

     

    둘 다 정부지원 대출이고, 무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 구매자금 상품입니다.

     

     

    • 둘 다 고정금리 또는 장기 고정 혼합금리 상품
    • 모두 LTV 최대 70%, DTI는 60% 내외
    • 전입 의무 있음 (대출 후 6개월 내 입주)

     

    보금자리론 vs 디딤돌대출 비교표 (2025년 기준)

     

    대상자 조건과 금리, 자금 출처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조건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항목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대상 무주택자 누구나 (소득제한 없음) 무주택자 중 연소득 6천만원 이하 (생애최초 7천만원 이하)
    주택가격 6억 원 이하 5억 원 이하
    대출한도 최대 3.6억 원 최대 2억 원
    금리(2025년 6월 기준) 3.85%~4.15% 1.95%~3.15%
    우대금리 사회초년생, 다자녀가구 등 신혼부부, 다자녀, 장애인 등

     

    어떤 경우에 보금자리론이 유리할까?

     

     

    소득이 높은 맞벌이 부부나 주택 가격이 5억~6억 원대라면 보금자리론이 유리합니다.

     

    • 디딤돌은 연소득 제한이 있어 맞벌이 고소득자는 불가
    • 보금자리론은 소득 제한이 없고, 주택 가격도 최대 6억 원까지 가능

     

    어떤 경우에 디딤돌대출이 더 유리할까?

     

    사회초년생이나 신혼부부처럼 소득이 낮고 주택가격이 낮은 경우 디딤돌이 금리면에서 유리해요.

     

    • 우대금리를 적용하면 1%대 대출 가능
    • 신혼부부, 다자녀가구는 더 낮은 금리 혜택 가능

     

    실전 사례로 알아보는 선택 전략

     

     

    사례 1: 맞벌이 소득 8,000만 원, 주택 5.8억 원 구입

     

    • 디딤돌대출은 소득 초과로 불가
    • 보금자리론 선택 시 최대 3.6억 대출, 고정금리 4%대

     

    사례 2: 신혼부부 소득 5,500만 원, 주택 4.5억 원 구입

     

    • 디딤돌대출 가능 + 우대금리 적용 시 2%대 금리 가능
    • 보금자리론보다 이자 부담 적음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두 상품 모두 중복 신청이 가능한가요?

    → 중복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합니다.

     

    Q2. 전입은 꼭 해야 하나요?

    → 네, 6개월 이내 실거주(전입)가 의무입니다.

     

    Q3. 생애최초 구입자라면 어떤 상품이 더 좋을까요?

    → 소득 요건을 충족한다면 디딤돌대출이 금리 우대 측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Q4. 디딤돌대출은 왜 한도가 적나요?

    → 디딤돌은 상대적으로 저소득층 중심 정책 대출로, 자금 규모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Q5. 보금자리론 금리는 왜 높은가요?

    → 자산유동화 방식으로 자금이 조달되기 때문에 시장금리에 더 민감합니다.

     

     

     

    마무리 요약 및 추천 전략

     

    디딤돌은 금리 혜택이 크지만 소득·가격 조건이 엄격하고, 보금자리론은 조건은 느슨하지만 금리가 높습니다.

     

    • 맞벌이 고소득 → 보금자리론
    • 신혼부부·저소득층 → 디딤돌대출
    • 두 상품 모두 조기 신청 시 금리 고정이 유리

     

    아래의 관련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수도권 주담대 6억 제한 정책 총정리 (2025년 6월 28일 시행)

     

    수도권 주담대 6억 제한 정책 총정리 (2025년 6월 28일 시행)

    [목차] 오늘부터 수도권과 규제지역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됩니다.다주택자·갭투자 수요를 막기 위한 강력한 대출 규제가 시행되면서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대출

    info-o.infoworld25.kr

    주담대 규제? 무주택자에겐 기회일까 – 실수요자를 위한 생존 전략 (2025)

     

    주담대 규제? 무주택자에겐 기회일까 – 실수요자를 위한 생존 전략 (2025)

    [목차] 2025년 6월 28일부터 수도권과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6억 원 상한선이 생기고, 다주택자의 추가 주담대가 금지됐습니다. 이런 강력한 규제 속에서, 무주택자와 실수요자들은 오

    info-o.infoworld25.kr

     

    한국주택금융공사 공식 사이트에서 보금자리론, 국토부 마이홈포털에서 내집마련디딤돌대출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에게 유리한 조건이 무엇인지 미리 확인해보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를 부탁드립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정부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혼부부 주택구입 지원제도 총정리 (2025)  (0) 2025.07.07
    2025 에너지바우처 자주 묻는 질문(FAQ) 7가지  (0) 2025.07.02
    생애최초 주택 혜택 총정리 (2025)  (0) 2025.07.01
    2025 에너지바우처와 난방비 지원금, 뭐가 다를까?  (0) 2025.07.01
    2025 여름·겨울 바우처 차이점 알아보기  (0) 2025.06.27
    2025 에너지바우처 사용처 및 사용방법 안내  (0) 2025.06.26
    2025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액과 대상자 기준  (0) 2025.06.26
    2025년 차상위계층·기초생활수급자 기준 중위소득표 총정리  (0) 2025.06.22
    이 글을 본 사람들도 관심있게 본 글
    • 생애최초 주택 혜택 총정리 (2025) 2025.07.01
    • 2025 에너지바우처와 난방비 지원금, 뭐가 다를까? 2025.07.01
    • 2025 여름·겨울 바우처 차이점 알아보기 2025.06.27
    • 2025 에너지바우처 사용처 및 사용방법 안내 2025.06.26
블로그 이미지
info-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