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6. 21.

    by. info-o

     

    2025년 중위소득표 & 복지 소득인정액 계산 총정리

     

    [목차]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가구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값을 말하며, 보건복지부 고시를 통해 매년 확정됩니다. 복지 급여의 승‧탈락 기준으로 활용되죠. 2025년은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정부는 복지제도 대상자를 결정할 때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을 일렬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에 있는 소득 수준을 말합니다. 아래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입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150% 200%
    1인 2,392,013 3,588,020 4,784,026
    2인 3,932,658 5,898,987 7,865,316
    3인 5,025,353 7,538,030 10,050,706
    4인 6,097,773 9,146,660 12,195,546
    5인 7,108,192 10,662,288 14,216,384
    6인 8,064,805 12,097,208 16,129,610

     

    150%, 200% 등 비율별 중위소득은 복지 혜택 범주 파악에 유용합니다.

     

    복지 기준별 소득 인정액 계산 방법

     

    복지제도에서 중요한 건 단순한 ‘소득’이 아니라 ‘소득인정액’입니다. 이는 실제 소득과 재산을 일정 방식으로 환산한 총합으로, 지원 여부를 가늠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아래는 소득인정액의 구성 방식입니다.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소득평가액: 실제 소득에서 기본공제 및 가구 특성 지출공제 등을 제외한 금액
    - 소득환산액: 재산에서 기본재산액·부채 등을 제외한 후 환산율 적용한 월 환산액

     

    ① 소득평가액

    소득평가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에서 공제액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실제 수입이 많더라도 일정 부분 공제를 통해 기준에 따라 조정됩니다.

     

    ② 재산의 소득환산액

    보유 재산도 소득으로 환산됩니다. 예를 들어 주택이나 차량, 예금 등의 재산 가치는 정해진 환산율을 적용해 월 소득처럼 계산합니다.

     

    복지서비스별 중위소득 기준 예시

     

    각 복지제도는 일정한 중위소득 이하 가구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제도별 기준입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30~50% 이하
    • 차상위계층: 50~60% 이하
    • 한부모가정 지원: 52% 이하
    • 아동수당: 중위소득 무관 (만 8세 미만 전체)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급여별 선정기준

     

    급여 종류 비율 1인 2인 3인 4인
    생계급여 32% 765,444 1,258,451 1,608,113 1,951,287
    의료급여 40% 956,805 1,573,063 2,010,141 2,439,109
    주거급여 48% 1,148,166 1,887,676 2,412,169 2,926,931
    교육급여 50% 1,196,007 1,966,329 2,512,677 3,048,887

     

     

    각 급여별 기준선 이하에 소득인정액이 해당되면 신청 가능하며, 노인·장애인 등 특별대상은 추가 공제가 적용됩니다.

     

    소득인정액 활용 팁

     

    • 표 안 금액을 기준으로 ‘나의 자격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재산·부양 여부에 따라 실제 수급 가능 여부가 달라지므로 주민센터나 복지로 계산기로 확인하세요.
    • 2025년에는 기준 인상, 자동차 기준 완화, 노인 근로공제 확대 등 제도 개선이 이뤄졌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중위소득 기준은 매년 바뀌나요?

    예, 보건복지부가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고시하며, 2025년에는 6.42% 인상되었습니다.

     

    Q2. 소득인정액 계산이 복잡하면?

    ‘복지로’ 사이트나 지방자치단체의 모의계산기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3. 급여별 기준이 다른 이유는?

    생계·의료·주거·교육 등 지원 목적이 다르므로 해당 목적별 기준이 별도로 설정됩니다.

     

    Q4. 자동차도 재산으로 포함되나요?

    네. 자동차 등 일반재산은 환산율 적용되며, 2,000cc·500만원 미만 기준이 완화돼 2025년부터는 소득 산정 부담이 줄었습니다.

     

    Q5.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됐나요?

    의료급여 1종만 적용되며, 생계·주거·교육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되어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마무리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복지 기준은 역대 최대 인상과 함께 제도 개선이 이뤄진 중요한 해입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나에게 맞는 복지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꼭 놓치지 마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주변에 공유 부탁드립니다.